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조선왕조 역대 왕 순서 암기법

조선왕조 역대 왕 순서는 시험에서도 필수로 등장하는 중요한 부분인데요,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의 순서를 어떻게 쉽게 이해하면서 외울 수 있는지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조선왕조공부는 머릿속으로 큰 사건들을 기점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진행이 되어야 헷갈리지 않고 연결이 되고 역사의 흐름까지도 익힐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단순하게 외우기만 해서는 왕의 업적까지 이해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1대의 왕 태조 이성계는 위화도회군을 통해 고려를 멸망시키고 1392년 조선왕조를 세우게 되는데요, 최초 시조이기 때문에 “조”라는 칭후가 붙고 그 이후는 “종”으로 끝납니다.

2대 정종은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을 시켰고 1대 태조의 둘째 아들로써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립이 됩니다.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3대 태종의 경우 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로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사병을 없애고 관직 제도를 개혁 했습니다.

4대 세종의 경우 3대 태종의 셋째 아들로,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정치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의 폭 넓은 분야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확장을 했으며 백성들에게 전파를 시키고 조선의 황금시대를 연 성군으로 칭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5대 문종의 경우 4대 세종의 맏아들인데요, 성품이 원화하고 학문을 좋아했던 왕으로 세종의 뒤를 이어 받아 유교적 이상 정치를 베풀고 문화를 발달 시켰습니다. 그 다음 6대 단종의 경우 12살에 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정치적 야심으로 희생이 된 비운의 소년 국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계유사화로 수양대군에 의해 유배 되었다가 죽임을 당했고 숙종 때 왕위를 다시 찾았기 때문에 단종이라는 칭호가 붙었습니다.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7대 세조는 4대세종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으로, 계유정난을 일으켰고 조카였던 단종의 왕위를 찬탈했습니다. 국조보감, 경국대전 등을 편찬하였고 관제의 개혁을 한 왕입니다. 8대 예종의 경우 7대 세조의 둘째 아들로 재위 13개월 만에 죽었으나 세조 때부터 시작한 경국대전을 완성했습니다.

9대 성종은 학문을 좋아했고 인재등용 등 조선 초기 문물제도를 완성을 한 업적이 있으며 10대 연산군은 9대 성종의 맏아들이자 폐비 윤씨의 아들로 조선 최초의 반정으로 폐위가 되었습니다. 폭군으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켰습니다. 11대 중종의 경우 연산군의 이복동생으로 훈구파의 원한으로 혁신정치가 실패로 돌아갔고 1519 기묘사화, 신시사화를 초래했습니다.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12대 인종은 기묘사화로 없어진 현량파를 부활시켰으며 성품이 온화하고 효심이 깊었던 왕입니다.

13대 명종은 12세에 즉위했고 을사사화와 연관이 있으며 14대 선조는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왕으로 사람의 중앙정계 진출이 활발해지고 붕당이 형성되었던 때 입니다.

15대 광해군은 14대 선조의 둘째 아들로 조선 중기의 격동기에 실리 외교를 택한 군주라고 할 수 있겠으며 임해군을 역모로 죽이고 인목대비를 유폐하는 등의 폐륜을 많이 저질렀으며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습니다. 16대 인조는 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삼전도 굴욕을 겪은 왕입니다.

17대 효종은 북벌을 국시로 내세웠지만 그 기회를 얻지 못했고 병자호란으로 볼모로 8년간 잡혔다가 돌아왔지만 큰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18대 현종은 즉위 초부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의해 많은 유신들이 희생되었고 국력이 쇠퇴해졌습니다. 19대 숙종은 대동법을 전국에 실시했고 궁중암투가 극에 달하게 됩니다.

20대 경종 때에는, 노론과 소론 당쟁의 절정기가 되겠으며 21대 영조 때에는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로 붕당대립을 완화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책이 실시 되었으며 균역법을 시행해 백성의 군역 부담을 줄여 줍니다.

22대 정조의 경우 탕펵책을 계승하고 인재를 골고루 등용해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를 이루었다고 평가 받습니다. 23대 순조는 11세에 즉위했고, 백성들의 생활이 매우 힘들었던 시기로 1811 홍경래의 난이 발생했을 때입니다. 24대 헌종은 8세에 즉위해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권력 투쟁에 휘말렸습니다.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25대 철종은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9세 나이에 즉위 했고 26대 고종은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로 12세에 즉위 하여 대한제국 제1대 황제 입니다. 마지막 27대 순종은 조선의 마지막 국왕이 되겠습니다.

Advertisements